이명박 정부 5년 성과
HOME > 짧고도 긴 역사 >
제17대 대통령 >
이명박 정부 5년 성과
해외 언론 등의 평가
- 성공적으로 극복한 글로벌 경제위기
- 비관적인 경기 전망으로 '닥터 둠(Dr. Doom)'이라 불리는 루비니 美뉴욕대 교수가 자신마저도 좋아하지 않을 수 없는 국가로 한국을 인용
(2009년 6월 1일, Bloomberg)
- 2010년 1/4분기 GDP 성장률(전년동기대비)이 2002년말 이후 최고치인 8%에 가까운 수준으로 확대되어 한국이 교과서적인 경기회복(textbook recovery)을 달성
(2010년 4월 28일, Financial Times)
- 경기회복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미국과 유럽이 일본처럼 '잃어버린 10년'을 겪지 않으려면 한국의 위기대응 사례를 본받아야 함
(2010년 11월 8일, Bloomberg의 William Pesek 칼럼)
- 세계가 경제위기를 단기에 극복한 한국의 회복력에 주목하고 있으며, 금융개혁 등 고통스런 구조개혁을 통해 1997~1998년 아시아 금융위기를 극복해낸 쓰라린 경험이 이번 위기 극복의 토대가 됨
(2011년 1월 7일, International Herald Tribune)
- 무디스가 한국의 강력한 재정여건, 경제적 견실성, 대외취약성 감소 등을 이유로 한국의 신용등급을 한 단계 상향조정함으로써 중국ㆍ일본과 동등한 수준에 올라섰음
(2012년 8월 27일 Reuters)
- 한국은 세계에서 가장 역동적인 혁신국가(Most Prolific Innovation Powerhouse)중 하나이며 가장 성공적인 경제성장의 사례. 국가경쟁력 제고는 한국경제의 지속적인 성장동력이 될 것임
(2012년 9월 11일 클라우드 슈밥 WEF(World Economic Forum) 회장)
- 이명박 정부 5년은 한국 역사에 한 획. 한국경제의 자긍심을 고취시켰고, 한국의 국가신용등급은 아시아 금융위기 이전 수준으로 회복되었으며, 한국은 일본이 가장 두려워하는 국가가 되었음
(2012년 10월 22일 홍콩 동방일보)
- 세계 최고수준의 R&D 투자, 수출활성화 등 정부의 선제적 조치로 선진국 가운데 한국이 가장 먼저 경제둔화에서 벗어남. 글로벌 경제위기의 승자는 한국임
(2012년 11월호 미국 Foreign Policy호)
- 적극적인 FTA 영토 확장 등 대외개방을 확대
- 한ㆍEU FTA는 자동차업계를 비롯한 일본 기업들에 타격을 줄 가능성
(2010년 10월 7일, 아사히)
한ㆍEU FTA의 발효로 유럽시장에서 한국업체들과 경쟁하는 일본 업체들이 결정적으로 불리한 입지에 놓이게 됨
(2011년 7월 1일, 닛케이)
- FTA를 통해 한국경제가 전례 없는 수준으로 개방될 것이며, 이로 인해 한국인들은 새로운 소비 기회를 제공받는 한편 국내시장에서는 성장과 일자리를 창출할 외국인투자가 촉진될 것
(2012년 2월 8일, Wall Street Journal)
- 한국 기업들의 미국 시장 접근성 개선, 소비자 선택의 폭 확대 등 한미 FTA가 한국에 긍정적 효과를 미칠 것으로 전망
(2012년 3월 16일, Bloomberg)
- 연내 협상 개시 합의가 이루어진 한중일 FTA와 미국이 주도하는 환태 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이 동시에 추진돼 아태지역을 아우르는 자유무역지대가 창설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지만, 두 협정 모두 진전에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전망
(2012년 5월 19일, Economist)
- 중국경제의 둔화가 아시아 국가들에 영향을 주기 시작했다고 지적하면서, 한국에 대해서는 적극적인 FTA추진으로 중국경제의 성장둔화에 적절히 대처해 나가고 있다고 언급
(2012년 5월 29일, Wall Street Journal)
- G20 정상회의 개최·소프트파워 강화로 더욱 높아진 한국의 국가 위상
- G20 정상회의 개최 등을 계기로 한국은 세계의 주목을 받게 되는 반면 일본은 역사의 뒤로 묻히게 될 것
(2010년 9월 20일, 닛케이)
- 한국이 아시아 국가로는 처음으로 G20 정상회의를 개최하게 된 것은 차세대 글로벌 리더라는 한국의 새로운 역할을 상징적으로 보여줌
(2010년 11월 9일, Time)
한국은 ’97년 아시아 금융위기 여파와 중국의 부상 등에도 불구하고 스스로를 계속 혁신함으로써 또 다시 아시아의 기적이 됨
한국인들은 과거의 편견을 버리고 다양성을 폭넓게 수용하며 개방을 확대
- G20 서울 정상회의는 1997~1998년 금융위기를 극복하고 돌아온 한국의역사적인 세계무대 데뷔 행사
(2010년 11월 10일, New York Times)
- 지난 10년간 아시아를 뒤덮었던 한류 열풍이 이제 유럽과 미국으로 확산되며, 문화 수출은 한때 존재감이 없던 한국을 처음으로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국가로 탈바꿈
(2012년 2월 11일, Financial Times)
- 김용 다트머스대 총장의 세계은행 총재 선출은 미국뿐 아니라 다른 국가들도 환영할 일이라고 평가
(2012년 3월 28일, Financial Times)
- 싸이의 '강남스타일'이 영국과 미국의 유력 음악차트에서 각각 1, 2위를 기록하는 등 한국의 최대 음악 수출품이 됐다고 평가. 자국의 국제적 위상을 높이는 데 주력해 온 한국 정부에 있어 '강남스타일' 돌풍은 특히 환영할만한 현상일 것이라고 평가
(2012년 10월 9일, Financial Times)
- 한국이 그동안 녹색성장이라는 중요한 개념을 장려하는 데 앞장서왔다는 점을 감안하면 한국을 GCF 사무국 유치국으로 결정한 것은 현명한 처사
(2012년 10월 24일, Financial Times, Jeffrey Sachs 美 콜롬비아大 교수 칼럼)
- 녹색성장에 대한 국제사회의 평가
- 세계가 지속가능한 해결책을 필요로 하는 전환과 위기의 시대에 한국의 녹색성장은 국제사회가 가지는 희망
(2012년 5월, 반기문 UN 사무총장)
- 한국 대통령과 정부가 녹색성장을 금융위기 해법으로 제시한 점을 높이 평가. 녹색성장이란 이상을 현실로 실천하는 한국은 세계의 모범이 되고 있음
(2012년 5월, 아킴 슈타이너 UNEP 사무총장)
- 한국이 녹색성장 정책을 선도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OECD 녹색성장전략 출범에 한국이 중요한 기여를 하였음
(2011년 5월, 앙헬 구리아 OECD 사무총장)
- 한국은 말뿐만 아닌 행동으로 녹색성장을 지원해 왔음. 많은 개도국들이 한국을 모범사례로 꼽으며 한국의 변화에 관심을 갖고 있음
(2012년 5월, 레이첼 카이트 세계은행 부총재)
- 이명박 대통령에게 글로벌 리더십 분야 상을 수여하면서 한국이 국제사회에서 녹색성장의 선구자적 역할을 해온 점을 높이 평가
(2011년 3월, 자이드 국제환경상 사무국)
- 한국은 녹색성장의 'fast mover'임. 세계에서 가장 가난한 나라에서 세계적 경제대국으로 발돋움했고, 높은 경제성장률을 유지하면서 2020년까지 CO2 배출량 30% 감축이라는 의욕적인 목표를 설정했음
(2011년 5월, 라스 뢰케 라스무센 덴마크 총리)
- 녹색성장 분야에서 한국은 스스로를 '미운오리새끼'로 알고 있을지 모르나, 주변에서는 모두 한국을 '아름다운 백조'라고 우러러보며 칭찬하고 있음
(2012년 10월, 라스 뢰케 라스무센 덴마크 총리)
- 제3차 산업혁명은 아시아의 한국이 세계적 기술과 지리적 이점에 힘입어 주도적 역할을 할 수 있을 것. 다른 나라들도 한국처럼 탄소 경제에서 벗어나 미래세대를 준비해야 함
(2012년 5월, 제레미 리프킨)
- 4대강 사업에 대한 평가
- 4대강살리기 사업은 한국이 당면하고 있는 홍수, 가뭄 등 물 문제의 해결과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 할 것
(2010년 4월 UNEP 정책사례 보고서)
- 4대강 사업은 강 복원을 통한 녹색성장 사례
(2011년 UNEP 녹색경제보고서)
- 세계가 한국의 4대강 살리기 사업을 벤치마킹해야 한다.
(2012년 9월 20일, 미래학자 미국 예일대 폴 케네디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