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HOME > 함께 만드는 이슈 > 칼럼
한국의 씨름, 일본의 스모김도연 | 2015.02.03 | N0.11

김도연 서울대 초빙교수

씨름·스모처럼 닮은듯 다른 韓日
집단 우위, 감정 자제 일본인보다
담대한 한국 관계개선 주도할 것

 

이웃 나라 일본과는 잘 지낼 수 있으면 참 좋을 텐데, 아베 정부의 반성 없는 역사인식에서 비롯된 최근의 껄끄러운 관계는 오히려 점점 악화되는 듯하다. 어느 전직 외교관은 현재의 한·일 관계를 복합다중골절 상태라 진단했는데, 이는 이른 시간 안에 관계가 개선될 가능성도 별로 없다는 의미로 새겨진다. 한국과 일본 모두에 결국은 고통스런 일이다.


베스트셀러였던 ‘총, 균, 쇠’의 저자 재러드 다이아몬드는 일본인의 뿌리가 한반도에 있음을 밝힌 글에서 “일본인과 한국인은 성장기를 함께 지낸 쌍둥이 같은 형제다”라고 이야기한 바 있다. 실제로 한국과 일본 사이엔 쌍둥이 같은 점이 무척 많지만 동시에 서로 다른 점도 엄청난데, 그 예로 인류의 가장 원초적 스포츠인 씨름을 비교해 보자.


일본에선 씨름을 서로 상(相)자와 부딪칠 박(撲)자를 써서 상박(相撲)이라 쓰고 이를 스모로 읽는다. 씨름이나 스모, 그리고 서양의 레슬링은 모두 뿌리를 같이하는 것으로, 이런 투기를 원형의 모래판에서 샅바를 매고 하는 나라는 오로지 한국과 일본뿐인 듯싶다. 그런 의미에서 씨름과 스모는 쌍둥이지만, 그 발달과정에서 각각의 민족성이 가미되며 디테일은 크게 다르게 됐다.


씨름과 스모 모두 상대방을 쓰러뜨리면 이기는 경기이기에 밀기, 당기기 등의 다양한 기술이 구사되는 것은 동일하다. 그러나 여기에 더해 스모에는 정해진 모래판 밖으로 상대방을 밀어내기만 해도 승자가 되는 특이함이 있다. 선수가 모래판 밖으로 나가면 다시 중앙에서 시작하는 우리 씨름과는 너무나 큰 차이다. 결국 스모에서는 일단 모래판 밖으로 쫓겨나지 말아야 하며, 그러기에 선수의 무거운 체중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체급이 없는 스모 경기에서 150㎏ 정도의 몸무게라면 이는 차라리 아담한 편이다.


우리 씨름 경기장의 크기는 지름 8m이지만 스모는 그보다 훨씬 작은 지름 4.55m의 모래판이기에, 엄청난 덩치의 스모 선수 두 사람이 웅크리고 앉아 힘을 겨루기에는 이미 너무 좁은 공간이다. 따라서 많은 시합이 밀어내기로 몇 초 만에 끝나기도 하는 비교적 싱거운 게임이 스모다. 씨름은 3판2승을 주로 하면서 결승전에 이르면 무려 5판3승을 택하기도 하는데, 이는 한두 번 패배에는 굴복하지 않고 끊임없이 도전하는 한국인을 닮았다. 그러나 스모는 단판으로 승부를 결정하는데, 실제로 일본인들은 매사에 한 번 결정된 승패에 대해서는 좀체 이의를 용납하지 않는다.


스모의 모래판에는 전통적으로 네 개의 기둥을 세우고 그 위에 지붕을 올렸다. 근세에 들어 관객을 위해 기둥은 없앴지만 오늘까지도 지붕은 줄곧 전용 경기장의 천장에 매달아 두고 있다. 결국 스모에서 모래판 밖으로 밀려남은 집 밖으로 쫓겨나는 것을 상징하는데, 일본 문화에서 집이란 개념은 가족들로 구성된 가문 이상의 집단을 의미하는 듯싶다. 기업은 말할 것도 없고 국가 전체도 어떤 측면에서는 한 개의 가문처럼 운영되는 나라가 일본이다.


이처럼 집단에서 밖으로 밀려나는 것은 돌이킬 수 없는 패배이기에 일본인의 사고방식은 개인보다 집단을 우위에 두는 경향이 있다. 그 결과로 집단의 다른 구성원, 즉 남을 위한 배려가 체질화된 것은 일본 사회의 빛이지만 동시에 개성이 박제화되는 것은 그림자가 아닐까. 호쾌한 후리기로 허공에 모래를 흩날리면서 상대방을 눕힌 후, 승자가 한껏 포효하는 우리의 씨름은 참으로 개성 만점의 화려한 경기다. 그러나 스모는 이겨도 들뜨지 않고, 져도 절대로 불쾌한 표정을 짓지 못하는 감정이 극도로 자제된 무표정한 경기다.


올해로 국교정상화 50년을 맞는 일본은 어쨌건 우리의 영원한 이웃이다. 우리의 국익을 위해서도 좋은 관계를 가꿔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정치·외교 지도자들뿐 아니라 이제는 개인들도 노력해야 할 것이다. 꼬여 있는 양국 관계의 개선을 위한 돌파구는 아무래도 개성적이고 담대한 한국인들이 마련할 수 있으리라 믿어진다.


<한국경제>에 기고한 글입니다
원문보기: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5020154271&intype=1

  • facebook
  • twitter
댓글쓰기